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히든피겨스 속 수학과 과학, 얼마나 정확할까?

by hooso 2025. 3. 29.
반응형

영화 히든피겨스 포스터

영화 히든피겨스(Hidden Figures)는 1960년대 NASA에서 활동한 흑인 여성 수학자들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입니다. 주인공 캐서린 존슨을 비롯한 여성들은 NASA의 우주 탐사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존 글렌의 지구 궤도 비행을 위해 복잡한 수학적 계산을 수행했습니다. 영화는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감동적으로 그려내며, 당시 인종차별과 성차별 속에서도 그녀들이 어떻게 과학적 업적으로 인정받았는지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영화 속에서 묘사된 수학과 과학이 실제 역사와 얼마나 부합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습니다. 과연 영화에서 보여준 수학적 계산과 과학적 기술은 실제로 NASA에서 사용된 방식과 일치할까요? 영화적 연출을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된 부분은 없을까요? 이 글에서는 영화 속 수학과 과학이 실제와 얼마나 유사한지 분석하고, 실화와 차이점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히든피겨스 속 수학적 계산, 실제와 얼마나 같을까?

NASA에서 캐서린 존슨이 수행한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존 글렌의 비행 궤도를 계산하고, 재진입 경로를 검증하는 것이었습니다. 영화 속에서 캐서린이 수식을 적으며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는 장면이 등장하는데, 실제로 그녀는 뉴턴의 운동 방정식을 기반으로 궤도 계산을 수행했습니다. 특히 영화에서 강조된 ‘오일러 방법(Euler’s Method)’은 수치 해석 기법 중 하나로, NASA에서 실제로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단 한 번의 계산으로 해결하는 것처럼 묘사되었지만, 현실에서는 수많은 반복 계산과 검증이 필요했습니다.

또한, 영화 속에서는 캐서린이 종이에 수식을 적으며 직접 계산하는 모습이 강조되지만, 실제로는 NASA 내부에서 팀 단위로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당시 NASA에는 여러 명의 여성 수학자들이 함께 근무하며 다양한 계산을 수행했습니다. 물론 캐서린 존슨이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모든 계산을 그녀 혼자 수행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영화에서는 극적인 연출을 위해 그녀의 역할을 더욱 부각시켰지만, 실제로는 다른 연구원들과의 협업이 필수적이었습니다.

그리고 NASA의 우주선 귀환 계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패리볼릭 방정식(Parabolic Equation)’이었습니다. 이는 우주선이 지구 대기로 재진입할 때 적절한 각도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계산이었습니다. 영화에서처럼 재진입 각도가 조금만 어긋나도 우주선이 지구 대기권에서 튕겨 나가거나, 너무 가파르면 기체가 불타버릴 위험이 있었습니다. 캐서린 존슨과 그녀의 동료들은 이 계산을 수행하며 NASA의 우주 비행이 성공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하지만 영화에서 보여준 것처럼 단순히 ‘손으로 계산한 값이 더 정확하다’는 식의 표현은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습니다. 당시 NASA는 이미 컴퓨터를 도입하고 있었으며, 인간이 직접 계산하는 것은 보조적인 역할이었습니다. 영화에서는 ‘컴퓨터보다 인간의 계산이 더 정확하다’는 듯한 인상을 주지만, 실제로는 컴퓨터가 훨씬 복잡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당시 초기 컴퓨터 시스템은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학자들이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2. 영화 속 과학적 배경, 실제 NASA의 기술과 비교해보면?

영화에서 등장하는 NASA의 연구 환경과 기술적 배경은 실제 역사와 유사한 점이 많습니다. 특히 영화에서 등장하는 IBM 7090 컴퓨터는 실제로 NASA에서 사용되었던 모델입니다. 이 컴퓨터는 NASA의 머큐리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수많은 궤도 계산과 비행 시뮬레이션을 수행했습니다. 하지만 영화 속에서는 이 컴퓨터가 처음에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다가, 캐서린 존슨이 등장하여 수식을 수정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는 영화적 연출을 위한 장치이며, 실제로는 단순한 계산 오류가 아니라 초기 컴퓨터 시스템이 불안정했던 것이 주요 문제였습니다.

3. 실화와 영화의 차이, 얼마나 과장되었을까?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했지만, 극적인 요소를 강조하기 위해 몇 가지 설정을 변경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영화 속에서 캐서린 존슨이 유색인종 전용 화장실을 사용해야 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이는 NASA 내부의 인종차별 문제를 강조하는 중요한 장면이지만, 실제로 그녀는 이런 문제를 직접적으로 겪지는 않았습니다. NASA는 비교적 개방적인 기관이었으며, 그녀는 백인 동료들과 함께 일할 수 있었습니다.

결론: 영화는 감동적이지만, 과학적 사실은 단순화되었다

히든피겨스는 과학적 사실과 감동적인 실화를 조화롭게 담아낸 영화입니다. 영화 속 수학적 계산과 과학적 개념들은 대부분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했지만, 스토리 전개를 위해 단순화된 부분이 많습니다. 캐서린 존슨과 동료들의 역할은 NASA 역사에서 매우 중요했으며, 그들이 남긴 업적은 현재까지도 높이 평가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화는 극적인 요소를 강조하기 위해 몇 가지 역사적 사실을 변경하거나 단순화했습니다.

반응형